김동춘 교수(기독연구원 느헤미야)

▲ 김동춘 교수(기독연구원 느헤미야)

한국교회의 신뢰도와 위상이 바닥으로 추락하고 있다. 그 해결 방안으로 필자는 공론장에서 교회가 어떻게 존재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론장(public square)이란 공적 의사를 가진 시민이나 사회구성원들이 참여하여 의사소통을 통해 합리성을 창출하는 곳을 말한다. 공론장에서 교회는 종교라는 명분으로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의 가치와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교회와 사회의 두 영역 속에 실존하는 교회를 고민해야 한다. 먼저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요, 세상을 위한 구원의 도구라는 점에서 교회 밖의 사람들을 교회 안으로 끌어들이는 구심적(求心的) 교회관, 즉 교회론적 교회관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교회를 교회 안에 가둬버리기 쉽다. 교회 신뢰도가 추락하는 이 시대에 교회 중심적 사고에만 매몰되어 있어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오기 어렵다.

이제 한국교회는 교회 너머의 교회를 생각해야 한다. 교회 바깥에서 바라보는 교회의 실상, 교회 외부자의 눈으로 바라보는 교회를 고민해야 한다. 교회 내부의 시선이 아니라, 교회를 바라보는 세상의 시선을 고민해야 한다. 지금 세상은 교회를 향해 이렇게 질문하고 있다. “당신들의 종교는 사적 이익보다 공공을 위해 존재하는가?”, “당신들의 교회는 사회 일반의 보편상식을 존중하면서, 사회를 위한 공동선을 추구하는가?” 우리 사회는 이것을 교회에게 묻고 있다. 이것이 바로 공론장 속에 존재하는 교회의 실존방식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교회의 신뢰회복을 위해 ‘공론장 사고’가 시급히 필요하다. 아직도 많은 목회자들은 교회 문제가 언론 매체에서 다루어질 때, 교회 문제는 신앙 문제이므로 교회 안에서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한다. 교회 외부자인 사회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고 차단막을 치려고 한다. 교회의 내부 문제가 언론에서 폭로될 때, 이를 교회를 허물려는 사탄의 계략으로 몰아가려 한다. 그러나 교회는 단 한번이라도 교회의 세습과 비리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자정능력을 보여준 적이 있었던가?

교회 내부자 시선으로는 언제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교회 문제를 내부자 논리로 대응하는 것은 한계가 분명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교회 외부자들과 교회 바깥의 관찰과 비판 앞에 뼈아픈 반성을 하면서 교회 밖 시선과 소통해야 한다. 

한국교회의 신뢰회복을 위해서 도덕적 각성과 부패구조의 단절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오늘날 왜 교회 문제가 공영방송과 인터넷 매체에서 공공의 이슈로 등장하는지 그 배경을 이해해야 한다. 현대사회는 ‘교회의 종말’과 ‘무종교’ 사회가 도래한 듯 보인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세속화 사회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다시 귀환하여 부활하고 있기도 하다. 또 현대사회는 SNS가 활성화되고, 인터넷으로 모든 개인정보가 노출되고 있다. 교회의 비리와 스캔들은 이제 사적인 공간 속으로 숨어 있을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에스더기도운동이나 교회세습의 모습은 전체 한국교회의 ‘집단인격’으로 각인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제 한국교회는 공론장에서 교회의 모습에 대해 현명한 대응이 필요하다. 먼저는 교회 바깥에서 교회를 볼 때, 교회 집단이 우리 사회의 어느 집단 못지않게 납득이 가는 집단이라는 것, 그러니까 ‘타당성 구조’를 지니는 곳이라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전부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교회의 논리가 사회의 보편 상식과도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교회 바깥을 향해서는 공동선을 위해 교회가 존재한다는 것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면서, 교회를 향한 비판에도 열린 자세로 경청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결국 한국교회가 가야 할 길은 공론장에서 교회가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를 깊이 고민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