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역사 시대별 핵심정리 집중도 높여
기원과 태동부터 도전과 변혁 등 주제로 8개 구분 … 순교 유산 등 ‘특별존’도 마련

총회역사관은 우리 총회의 역사를 총 8개의 시대로 나누어 소개한다. 한 시대를 하나의 존(zone)으로 삼아, 당시 시대의 상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중요한 사건과 핵심적인 인물들을 관련된 사진자료들과 함께 정리해 보여준다. 이제 그 시대들을 하나씩 탐방해보자.

제1존  장로교회의 기원과 발전(1517년~)

‘성경에서 장로교회의 뿌리를 찾다‘라는 테마로 막을 여는 첫 코너는 교회의 기원, 특히 장로정치 제도의 근간을 성경에서 찾는 이야기들로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초대교회에서 적용한 성경적 장로정치, 그리고 종교개혁을 통해 복원된 장로교회의 기초들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그 과정에서 어거스틴 루터 칼빈 등의 이름이 등장하며, 특히 칼빈에 대해서는 장로교회의 틀을 실질적으로 수립한 인물로서 비중있고 상세하게 언급한다. 이후 칼빈주의 사상이 유럽을 거쳐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발전해가는 과정과, 칼빈의 제자인 존 낙스를 통해 스코틀랜드 장로교회가 조직되고 이를 모태로 미국장로교회가 조직되는 과정 등을 소개한다.

제2존  한국장로교회의 태동(1870~1900년)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소속인 존 로스와 매킨타이어가 1870년 만주에서 시작한 선교사역을 한국장로교회의 여명으로 제시하며 ’복음의 씨앗, 한국 땅에 뿌려지다‘라는 제목의 두 번째 이야기가 시작된다. 대동강에서 순교한 토마스 선교사, 최초의 한글성경 번역, 1887년 ‘예수셩교전서’ 발간, 소래교회 설립 등 초창기 한국교회의 뜻깊은 족적들을 살피는 스토리가 뒤를 잇는다.

특히 미국 북장로교를 시작으로 서구 각국의 장로교 선교부에서 한국 땅에 파송한 알렌 언더우드 맥케이 전킨 그리어슨 등 대표적 선교사들의 면면과 활약상을 한국장로교회를 형성한 커다란 한 줄기로, 1882년 일본에 건너가 복음을 접하고 한국인 최초로 마가복음을 번역하기도 했던 이수정을 또 하나의 줄기로 부각시킨다.

복음전도와 함께 의료선교 교육선교 문서선교 사회선교 등에도 소홀하지 않았던 초창기 장로교회의 선교방식이 한국의 근대화에 공헌한 부분, 한국인들이 자립 능력과 리더십을 가지고 교회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이끌어 준 네비우스 선교정책에 대해서도 자세히 서술한다.

제3존  한국장로교회의 조직(1901~1912년)

‘이 땅에 교회가 빛이 되다’라는 주제 아래 선교부 간의 예양협정에 따라 선교지 분할이 이루어지고, 이 땅에도 점점 많은 교회들이 설립됨에 따라 이들을 치리할 정치기구들이 탄생하여 발전하는 과정이 그려진다. 예비 치리기관 성격의 공의회 시기를 거친 후 이루어진 1907년 9월 17일의 독노회 설립은 ‘한국장로교회의 진정한 생일’로 묘사된다.

이 무렵 한국장로교회가 배출한 최초의 신학교 졸업생들인 방기창 서경조 양전백 한석진 이기풍 길선주 송인서 등의 이름이 등장하고, 평양을 중심으로 벌어진 대부흥운동이 집중 조명된다. 그리고 이를 자양분 삼아 탄생한 1912년 9월 1일 장로교회 제1회 총회의 감격적인 개회 장면을 보여주며 세 번째 장을 마무리한다.

제4존  한국장로교회의 사상적 도전과 시련(1930~1945년)

네 번째 전시구역에는 ‘장기간 고난을 견디게 하여 주옵소서’라는 기도문에서 느껴지듯 영욕이 교차한다. 국권침탈로 희망을 잃었던 민족에게 희망이 되었던 한국교회의 분투하는 모습이 3·1운동을 주도했던 기독교인 지도자들의 모습을 통해 상징적으로 조명되고, 자유주의 신학에 맞서 개혁신학을 보수하려 애쓴 박형룡 박사 등의 활약상도 생생하다.

하지만 일제의 끈질긴 압박을 결국 견디지 못하고, 1938년 9월 9일 제27회 총회에서 신사참배를 결의했던 한국장로교회의 가장 수치스러운 장면도 외면할 수 없다. 반성문을 쓰듯 차근차근 솔직담백하게 묘사되는 이 대목에서는, 함께 다루어지는 주기철 목사 등 순교자들이 보여준 결연한 항거 장면들만이 유일한 위안이다.

제5존  해방과 한국장로교회의 분열(1946~1959년)

이제 어둠이 더욱 짙게 드리운 시기로 들어선다. ‘한반도의 분단과 교회의 분열’을 목도해야 한다. 해방 후 남북의 교회들이 각기 대회나 연합회를 조직하고 일제치하의 부끄러운 그늘에서 벗어날 준비를 하지만, 곧바로 발발한 6·25로 인하여 수많은 교회들이 극심하게 탄압받고 수많은 성도들이 희생되는 훨씬 나쁜 상황을 맞는 모습이 그려진다. 앞서 제4존에서부터 제5존까지 연속해서 언급되는 순교자들에 대해서는 뒤에 별도로 다루는 자리가 마련된다.

그리고 또 하나의 아픈 이야기가 시작된다. 신사참배와 고려신학교 문제 등으로 인한 1951년 고려파 분열, 김재준의 성경관 논란에서 비롯된 1952년 기장측 분열, WCC가입 문제로 촉발된 1959년 통합측 분열 등 장로교회의 거듭되는 이탈과 분열의 역사가 다소 긴 호흡으로 다루어진다. 보수신학의 요람이 된 총회신학교의 설립과정도 이 대목에서 엿볼 수 있다.

제6존  한국장로교회의 갈등과 발전(1962~1986년)

비로소 캄캄했던 터널을 빠져나오는 느낌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 갈등을 딛고 발전하다’는 글귀와 함께 총회 역사관의 여섯 번째 장을 만난다. 이 장에서는 1962년 총회 설립 50주년 기념대회를 계기로 기독신문 창간과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번역 출간(1965년), 일만교회운동 추진(1972년), 총신 양지캠퍼스 조성(1981년), 총회회관 건립(1984년) 등으로 이어지는 굵직굵직한 이정표들을 통해 총회가 발전궤도에 오르는 과정을 확인하게 된다.

1975년 제60회 총회에서 소위 주류와 비주류간 반목으로 인해 또 한 번의 분열이 재연되지만, 갈등의 시대를 종식시키기 위해 통일찬송가 발간 등 한국교회의 연합을 도모하는 풍경들도 묘사된다.

제7존  총회의 변혁과 새로운 리더십의 구축(1983~1998년)

‘선교의 2세기, 거듭나는 총회’라는 타이틀에서 알 수 있듯이 기독교선교 100주년을 즈음한 한국교회의 초교파적 연대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세계선교의 주역으로 발돋움하는 우리 총회의 강화된 위상이 자랑스럽게 다루어진다. 여의도광장과 잠실체육관에서 벌어진 1985년의 선교대회,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한국장로교협의회의 출범, 통일교를 비롯한 이단들과의 대결 등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모습들이 그려진다.

더불어 해외선교 사역이 갈수록 약진하며 파송선교사와 관할 선교지의 급증으로, 1991년 총회해외선교위원회로 시작된 교단 선교조직이 1998년 제83회 총회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세계선교회(GMS)’로 확대되는 가슴 벅찬 성장기도 읽어 내릴 수 있다.

제8존  새로운 미래를 향하여(2005년~)

우선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으며 계속해서 불 밝히는 청신호들이 한 눈에 들어온다. 2005년 제90회 총회에서 과거의 주류와 비주류가 26년간의 분열을 종식하고 다시 하나되는 감동과, 총회설립 100주년을 맞아 2012년 기도한국 전국대회와 총회100년사 발간 등 성대한 기념사업을 펼쳐나간 광경을 기분 좋게 확인할 수 있다.

‘통일의 미래, 거듭나는 한국교회’라는 마지막 장의 슬로건은 총회가 향후 지향할 목표와 과제들을 제시한다. 민족복음화와 세계선교, 남북통일과 동서화합, 순교신앙 계승과 다음세대 양성으로 힘찬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우리들의 아름다운 미래상을 꿈꾸게 된다.

특별존

여덟 개의 역사존 외에도 총회역사관에는 총회의 자랑스러운 면모들을 드러내는 특별존들을 마련하고 있다. 순교자코너에서는 주기철 손양원 박관준 조만식 등 총회순교자 명부에 이름을 올린 대표적 인물들과 총회순교사적지 제1호로 지정된 염산교회 77명 순교자들의 유산을 마주친다. 총회를 앞장서 이끌어 온 역대 총회장들을 소개하는 코너에는 교단분열기 구 예장개혁측 총회장들의 모습도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기독신문을 비롯한 총회 산하기관과 단체들의 현황 및 전국 노회들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